Skip to Content

7X5SECRETS

2019. 10. 23 – 12. 1

고양아람누리 아람미술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286

ARAM Art Museum

1286, Jungang-ro, Ilsandong-gu, Goyang-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7X5SECRETS⟩(2019)은 다이어리의 형식을 차용해, 그리드, 문자, 색면, 장식, 기호, 이미지 등으로 구성한 회화 작업이다. 가로 7열, 세로 5행으로 이루어진 그리드는 한 달을 표시하는 달력의 구조이자, 동시에 모더니즘 추상회화의 그리드를 환기한다. 그러나 이 작업에서 그리드는 고정된 체계가 아니라, 개인적 경험과 정서의 층위를 담아내며, 사적 질서가 기입되는 유동적 구조로 드러난다. 

‘소녀의 태도’는 회화적 주체성의 은유로 제시된다. 다이어리를 쓰는 ‘소녀’는 사회적 질서에 진입하기 전 아직 규정되지 않은 존재이다. 시간의 표준화된 틀을 수정하며, 장식과 꾸밈, 이미지와 기호로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간다. 권위를 전복하기보다 천연덕스럽게 무시하고, 감정과 감각을 유희하며 제도화된 추상적 질서를 재구성한다.

⟨7X5SECRETS⟩의 화면에는 문자와 이미지, 공예와 장식, 색면 추상, 환영적 기법, 디지털 효과가 병치된다. 회화의 형식은 미리 주어지거나 고정된 규범이 아니라, 감각과 욕망의 흐름 속에서 끊임없이 덧붙여지고 수정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회화는 무한히 변형 가능한 한 개인의 질서이자 감각의 장으로 드러난다.

7X5SECRETS (2019) is a painting series that appropriates the format of a diary, composed of grids, letters, color fields, ornaments, symbols, and images. The grid of seven columns and five rows recalls the structure of a calendar page marking a month, while simultaneously evoking the grid of modernist abstraction. Yet in this work, the grid does not function as a fixed system; instead, it appears as a fluid structure that inscribes a private order, embodying layers of personal experience and emotion.

The “girl’s attitude” is presented as a metaphor for painterly subjectivity. The diary-keeping “girl,” still an undefined being before entering social order, modifies the standardized framework of time, and through decoration, embellishment, images, and signs, creates a world of her own. Rather than overturning authority, she dismisses it with nonchalance, reconstructing the institutionalized abstract order through play with emotion and sensation.

On the surface of 7X5SECRETS, letters and images, craft and ornament, color-field abstraction, techniques of illusion, and digital effects are juxtaposed. Painting’s form is not a given or fixed convention, but a process that is ceaselessly augmented and revised through the flow of sensation and desire. In this way, painting emerges not as a fixed form but as an infinitely mutable private order and a field of sen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