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세계 Possible World
2018. 8. 17 – 2018. 8. 30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용암로 55
The Cheong-ju Art Studio
55 Yongam-Ro, Sangdang-Gu, Cheongju-Si, Chungcheongbuk-Do
⟪가능세계 Possible World⟫(2018)는 모더니즘 이후 회화의 토대이자 과학적 이성주의의 시각적 은유로 자리해 온 ‘그리드’를 비평의 대상으로 삼는다. 전시는 그 전통적 의미를 해체하고, 유동적으로 변화하고 생성하는 물질적 과정 속에 그리드를 다시 배치한다. 특히, 매체의 형식적 조건으로서 평면성(flatness)에서 누락된 감각을 되찾기 위해, ‘깊이 있는 평면’이라는 형용모순적 상태를 탐구한다.
이 전시에서 그리드는 고정된 틀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물질처럼 상태를 바꿔가며 다른 존재 조건으로 이동하는 연속된 과정에 놓인다. 종이와 아크릴판 같은 평면 재료 위에 인쇄된 그리드와 원은 잘려 재조합되고, 스프레이나 파우더로 흔적이 남겨진 채 옮겨지거나, 벽에서 돌출되고, 휘어지며, 거울에 반사된다. 이러한 물질적 이행과 행위의 개입을 거쳐, 작업은 부조, 입체, 설치로 확장된다. 이 과정에서 표면과 깊이의 경계가 와해되고, 평면적 질서는 공간과 접속하며 형식적 전환의 흐름 속으로 들어선다.
본래 자기지시적(self-referential) 순수성을 지향하며 수학적 공리처럼 닫힌 체계를 표상하던 기하학적 형태는, 이 과정에서 ‘휘발성과 촉각성(volatility and tactility)’이라는 물질적・감각적 차원을 지니게 된다. 이렇게 그리드에서 복원된 신체의 감각은 ‘인간의 의식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정된 절대성과 불변성에 개입하며, 이성과 물질의 이원론적 관계를 재구성한다. 전시는 그 상호 얽힘 속에서 감각과 사유가 새롭게 작동하는 가능성의 세계를 제안한다.
Possible World (2018) takes the grid—long a foundation of painting and a visual metaphor for scientific rationalism—as its subject of critique. The exhibition dismantles its conventional meaning and repositions the grid within material processes of change and becoming. In particular, it explores the paradoxical state of the “deep surface” to recover sensory dimensions omitted from flatness as a formal condition of the medium.
Here, the grid is not treated as a fixed framework but placed in successive processes, shifting states like matter itself and moving into other conditions of existence. Printed grids and circles on paper and acrylic are cut and recombined, marked with spray or powder, relocated, protruded from walls, bent, and mirrored. Through these material transitions and acts of intervention, the work expands into relief, three-dimensional, and installation forms. In this process, boundaries between surface and depth collapse, and planar order enters flows of formal transformation in contact with space.
Geometric forms, once associated with self-referential purity and closed systems akin to mathematical axioms, here acquire material and sensory dimensions of “volatility and tactility.” Restored bodily sensation within the grid intervenes in its assumed absoluteness and immutability as a model of human consciousness, reconfiguring the dualism of reason and matter. The exhibition proposes a world where sensation and thought emerge in new entanglement.